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36개월 아이 자존감 키우는 대화법, 아니 마음 지켜주는 말의힘
    36개월 아이 자존감 키우는 육아대화법

    3세 아이는 자아가 본격적으로 형성되는 시기로, 이때 어떤 언어를 듣고 어떤 반응을 경험하는지가 평생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칩니다. 훈육보다 중요한 것은 아이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주고, 실수 속에서도 스스로를 소중하게 여길 수 있도록 말로 지지해 주는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이의 자존감을 키우는 육아 대화법과 실제 상황별 대화 예시를 정리합니다.

    말이 곧 마음이 되는 시기, 자존감은 대화 속에서 자란다

    36개월, 만 3세 아이는 이제 단순히 욕구만을 표현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한 감각을 느끼고 자아를 인식하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이건 내 거야”, “내가 할래”, “싫어”와 같은 표현은 단순한 고집이 아니라, ‘나는 어떤 사람인가’에 대한 내면의 탐색이 언어로 드러나는 첫 단계입니다. 이 시기에 아이가 어떤 말들을 듣고 자라는지가 바로 평생의 자존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자존감은 ‘내가 나를 얼마나 소중하게 여기고, 가치 있다고 믿는가’에 대한 감정입니다.

     

    그리고 유아기 자존감의 대부분은 부모나 양육자가 아이에게 건네는 말과 반응을 통해 형성됩니다. 부모의 말 한마디, 표정 하나, 목소리의 온도가 아이에게는 거울처럼 작용하여, ‘나는 사랑받는 존재인가’, ‘나는 괜찮은 사람인가’를 판단하게 만드는 기준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에게 자존감을 심어주기 위한 육아는 무엇보다도 ‘말’에서 시작되어야 합니다.

     

    아이의 행동 하나하나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실수했을 때 어떤 표현으로 받아들이는가, 작은 성취에도 어떻게 칭찬하고 격려하는가가 바로 자존감 육아의 핵심입니다. 특히 3세는 자율성과 독립성을 키우는 시기이면서, 동시에 실패와 거절을 처음으로 경험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결과 중심의 피드백을 반복하게 되면 아이는 스스로에 대해 부정적인 감각을 갖기 시작합니다. 반면, 실수를 허용하고 감정을 공감하며, 시도 자체를 인정해 주는 대화를 경험한 아이는 어떤 상황에서도 ‘나는 괜찮은 아이야’라는 믿음을 갖고 자랍니다.

     

    이번 글에서는 36개월 아이의 자존감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되는 육아 대화법을 이론과 실제 예시로 정리하고, 부모가 일상 속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표현들을 함께 소개하겠습니다.

     

    아이를 있는 그대로 사랑받는 존재로 느끼게 하는 말들

    36개월 아이는 언어와 감정, 자아가 함께 성장하는 시기입니다. 부모의 말 한마디가 아이의 감정과 행동, 나아가 자기 개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 시기에는 의식적인 대화 방식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자존감을 키우는 대화는 아이의 행동이나 결과보다는 **감정과 존재 자체에 초점을 맞춘 말하기**에서 시작됩니다.

     

    ### 1. **결과보다 노력에 집중하는 말** 아이들은 결과보다 ‘내가 해보려고 했던 시도’가 인정받을 때 자신감을 느낍니다.

    - ❌ “왜 이렇게 못해?”

    - ✅ “혼자 해보려고 했구나. 엄마는 그 용기가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해.”

    - ✅ “힘들었지만 끝까지 해봤네. 멋졌어!”

    이런 피드백은 아이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계속 도전할 수 있는 내적 동기를 형성해 줍니다.

     

    ### 2. **조건 없는 사랑을 느끼게 하는 말** 아이의 잘못된 행동에도 사랑이 변하지 않음을 확신시켜주는 표현이 자존감을 지키는 데 중요합니다.

    - ❌ “그렇게 하면 엄마가 너 안 좋아해.”

    - ✅ “엄마는 네가 잘못했을 때도 여전히 사랑해. 다만 그 행동은 옳지 않았어.”

    - ✅ “네가 화가 나서 그런 거 알아. 엄마는 네 마음 이해해.”

    아이에게 ‘행동’은 교정하되, ‘존재’는 비난하지 않는 말이 필요합니다.

     

    ### 3. **감정에 이름을 붙여주는 말** 감정을 언어로 정리해 주는 부모의 말은 아이가 자기감정을 인식하고 존중받았다는 감정을 심어줍니다.

    - “이거 실패해서 속상했지?” - “그 말 들으니까 좀 슬펐어?” - “기뻐서 깔깔 웃었구나. 엄마도 기분 좋아졌어.”

    이처럼 아이의 감정을 반영해 주는 말은 자존감을 형성하는 기반이 되는 ‘자기 인식’을 돕습니다.

     

    ### 4. **존재 자체를 칭찬하는 말** 무엇을 했느냐보다 ‘네가 있어서 좋아’라는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주는 것이 자존감의 핵심입니다.

    - “네가 오늘 웃어줘서 엄마 하루가 밝아졌어.”

    - “네가 옆에 있으니까 든든하고 행복해.”

    - “그냥 너라서 좋아.”

    이런 말들은 아이의 마음속에 깊이 각인되며 ‘나는 소중한 사람’이라는 믿음을 형성하게 됩니다.

     

    ### 5. **‘잘했다’보다 ‘함께 느끼는 말’의 힘** 아이의 성취에 대해 단순한 칭찬보다 함께 기뻐하는 감정을 나누는 것이 더 큰 자존감을 만듭니다.

    - ❌ “잘했어.”

    - ✅ “너무 기쁘지? 엄마도 네가 그렇게 열심히 해서 기뻐.”

    - ✅ “이렇게 만든 걸 보니까 너도 뿌듯하겠다!”

    이런 방식은 아이가 자신의 성취를 외부 평가가 아닌 ‘내 감정’으로 느끼게 해 줍니다.

    이러한 대화는 특별한 순간이 아닌, **매일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쌓여야 효과가 있습니다. 칭찬보다 ‘느낌을 나누는 말’, 지시보다 ‘선택을 주는 말’, 비난보다 ‘이해하는 말’이 아이의 내면을 단단하게 만들어줍니다.

     

    아이의 자존감은 부모의 말 속에서 자랍니다

    36개월은 아이의 자존감이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아이는 매일 듣는 말, 반복되는 반응, 부모의 표정과 말투를 통해 ‘나는 어떤 사람인가’, ‘나는 사랑받는 존재인가’를 스스로 정의해 갑니다. 자존감은 큰 성취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지는 경험’에서 비롯됩니다. 부모의 말은 아이에게 ‘내가 충분히 괜찮은 존재’라는 메시지를 줄 수도 있고, 반대로 ‘나는 늘 부족한 존재’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의 언어는 아이를 키우는 도구이자, 아이의 내면을 조각하는 조각칼과도 같습니다. 실수를 혼낼 수는 있지만, 존재를 부정하지는 말아야 하며, 잘못을 지적할 수는 있지만, 사랑을 조건으로 삼아선 안 됩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키운다는 것은 결국 ‘이 아이는 어떤 상황에서도 존중받아야 할 존재다’라는 태도로 말하고 반응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말은 아이의 내면 깊숙이 남아, 평생 ‘나’를 바라보는 기준이 됩니다. 아이가 무엇을 할 수 있느냐보다, 어떤 눈빛과 말투로 자신을 바라보는가가 인생을 좌우합니다. 오늘도 아이에게 말해주세요. “그냥 너라서 좋아.” 그 말 하나가, 아이의 평생 자존감을 지탱하는 뿌리가 됩니다.